[서울와이어] [의학칼럼] 매복 사랑니 발치, 무조건 진행해야 하는 것일까?
[서울와이어] 이성에 눈을 뜨는 청소년 시기에 나오는 사랑니는 어금니 가장 안쪽에 자리를 잡는 치아이다. 개인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평균 1개에서 4개를 갖고 있으며, 턱뼈의 형태, 크기, 구강 내 공간 등에 따라 매복되거나 기울여진 상태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다른 치아들처럼 정상적인 위치에 자리 잡는 사랑니도 있겠지만, 기울어진 상태로 나오거나 잇몸뼈에 매복되어 통증을 유발하기 쉬운 사랑니도 있다. 간혹 사랑니는 무조건 발치가 필요한 치아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매복 사랑니는 다른 치아들과 달리 음식물이 자주 끼며, 어금니를 압박하여 치아 통증, 충치를 비롯한 각종 잇몸질환에 노출되기 쉽다는 특징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랑니는 다른 치아들처럼 올바르게 나오는 경우도 있기에 무조건 발치하기보다는 정확한 진단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정상적으로 나와 다른 치아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사랑니라면 무조건적인 발치를 진행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기울어졌거나 부분적이라도 매복 되어 있다면, 당장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발치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매복되거나 누워있는 사랑니의 경우, 멀쩡한 자연치아를 뽑는다는 심리적인 두려움으로 사랑니 발치를 방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치아 관리가 잘되지 않는 어금니 안쪽에서 충치를 비롯한 각종 잇몸질환 들을 야기할 수 있으며, 어금니를 압박해 통증도 유발할 수 있다. 때문에 치아 건강을 위해서라면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와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발치 유무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매복 사랑니의 경우 잇몸뼈에 묻혀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잇몸을 절개하는 수술적인 방법을 통해 발치를 진행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잇몸뼈에 매복되어 있는 사랑니는 신경과 인접해있는 경우가 많으며, 개인마다 사랑니의 위치와 형태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3D CT 정밀 검진을 통해 구강구조와 사랑니 매복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만큼 매복 사랑니 발치는 입속에서 진행되는 치료인 만큼,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과 첨단 장비를 통한 정확한 진단을 바탕을 통한 안전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치료 후 혀를 부위에 갖다 대는 행위는 자제하여야 하며, 치료 당일, 뜨거운 음식을 피하며 치료 부위에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서울그랜드치과의원 김준영 대표 원장
출처 : 서울와이어(http://www.seoulwi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