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사랑니 발치, 만만하게 봐선 안되는 이유
[건강칼럼] 우리가 흔히 사랑니라고 부르는 치아는 큰 어금니 중 세 번째 위치인 제3대구치로 구강 내 가장 늦게 나오는 치아이다. 보통 사춘기 이후 17~25세 무렵에 나기 시작해 마치 첫 사랑을 앓듯 아프다고 해 '사랑니'라는 명칭이 붙었다.
사랑니는 치열의 맨 안쪽 끝에서 공간이 부족한 상태로 자리를 잡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리에 어려움이 많아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사랑니가 가지런히 나고 건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발치를 하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으나, 바르게 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랑니와 잇몸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충치와 구취의 원인이 된다.
또한 사랑니가 나는 부위는 칫솔이 닿지 않는 경우가 많아 구강관리를 철저히 한다고 해도 염증과 충치가 생기기 쉬우며, 상하기 시작하면 염증을 일으키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대부분의 사랑니는 가지런하지 않고 수평 혹은 수직으로 숨어 있거나 비스듬히 누워 있기 때문에 주변 치아를 밀어 심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랑니가 돌출되거나 통증이 느껴진다면 문제가 된 사랑니를 발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사랑니 발치는 신경손상의 위험이 있고 외과적 처치가 동반돼야 하기 때문에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며 구강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이해와 치아, 신경, 턱의 구조 등을 파악해 정확한 진단과 발치계획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사랑니 발치를 어릴 때 유치를 빼는 수준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이는 큰 오산이다.
사랑니 발치 시에는 발치 중 치아의 파절, 신경의 손상, 인접 치아의 손상, 치조골의 골절, 상악동 천공, 피하 기종, 턱관절의 외상 등의 위험요인이 상존함을 명심해야 한다.
아울러 사랑니 발치 후에는 수술부위를 제외하고 양치질을 하되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