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상담/예약

※ 매주 화, 목요일 밤 9시까지 야간진료 합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동의 (용도 : 예약안내/상담)

언론기사

[조선비즈] 신경 쓰이는 사랑니, 발치 시기는?

서울그랜… 조회 : 155
목록

2018010302058_0.jpg

사진 = 김준영
서울그랜드치과 원장



사랑니는 상하악 가장 후방부에 있는 어금니로, 10대에서 20대 초반에 나며, 구강내 치아들 중 가장 늦게 나온다.

 

동양인은 치아 개수에 비해 턱이 작으므로 사랑니의 약 60~80%는 비정상적으로

 

옆으로 누워 뼛속에 매복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사랑니가 통증 없이 반듯하게 났다면 굳이 뽑지 않아도 되지만, 사랑니가 바르게 자라지 못하고 매복된 형태를 보이면

 

치아와 잇몸 사이에 음식물이 끼기 쉬워 충치를 유발하고, 또 쌓인 음식물이 염증을 일으키며,

 

염증으로 인해 합병증을 유발 할 수 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염증으로 인해 사랑니로 인한 통증이나 인접 치아의 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빼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사랑니를 빼고 난 뒤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발치로 인한 통증과 부종도 줄일 수 있다.

 


 

서울그랜드치과 김준영 원장(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은 “ 대부분의 사랑니는 제대로 나오기보다는

 

매복사랑니 또는 누운 형태로 비정상적으로 자라는 경우가 많아, 염증으로 인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금이라도 불편감이 있으면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시기에 발치를 하는 것이 좋다” 고 조언했다.

 


 

사랑니는 나이가 많고, 턱관절이 안 좋은 사람은 나누어 발치하는 것이 좋으며,

 

임신을 계획 중이라면 사랑니를 미리 발치 하는 것이 좋다.

 


 

임신하면 호르몬의 영향으로 잇몸 혈관 벽이 얇아져 염증이 더 잘 생기고,

 

임신중에는 약 복용을 피하는 임산부가 많아, 임신을 앞두었다면 사랑니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매복사랑니는 아래턱의 감각을 담당하는 하치조신경과 가깝게 붙어 있는 경우가 많아

 

발치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주의해야 하고 발치시에는 일반 치아 발치와 달리 난이도가 높아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 후 발치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 원장은 “매복 사랑니를 발치할 때 신경손상이 일어날 경우 신경마비에 의한

 

잇몸, 볼, 턱, 입술 주변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손상이 발생하여 감각마비 증상과 같은

 

영구적 장애가 나타날 수 있어, 사랑니 발치 시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며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보다 정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발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랑니로 인한 염증 및 신경관 손상의 위험이 임플란트의 안정적인 식립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사랑니 주변에 임플란트 식립 시 뼈이식이 필요한 경우,

 

치조골 등에 사랑니에 의한 염증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이 좋다” 고 조언했다.

 


 


[원본링크]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03/201801030214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