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 사랑니 발치, 고려해야할 점은?
서울그랜…
조회 : 387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사랑니는 구강 내 뒤쪽 맨 구석에 자라는 어금니로, 대개 사춘기 이후 성년기에 아프면서 나온다고 해서 흔히 사랑니로 불린다.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1개에서 4개의 사랑니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대인들은 턱뼈가 작아진 영향으로 구강공간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구강 공간의 부족 때문에 사랑니가 바르게 나지 못하고 누워서 나거나 삐뚤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랑니가 잇몸 속에 매복 된 형태로 자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치아와 잇몸 사이에 음식물이 끼거나 충치가 생겨 여러 구강질환의 원인이 된다.
매복사랑니에 의해 충치가 생기거나 염증이 생길 경우 입 냄새를 유발하고 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이러한 상태를 방치할 경우 편도선, 림프절 등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매복사랑니에 의한 염증이 심해질 경우 주변 치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주변치아의 손상,치아 낭종(물혹)과 치조골염, 종양 등의 합병증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서울그랜드치과 김준영 원장(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는 “사랑니 발치를 미룰 경우 합병증,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사랑니에 의한 불편함을 느낄 경우에는 서둘러 발치하는 것이 좋다”며 “자칫 염증 및 충치로 인해 주변치아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면 전반적인 구강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사랑니 발치는 외과적 처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갖춘 의료진에게 발치하는 것이 안전하다. 사랑니를 발치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상악동 천공, 잇몸의 상처, 치아의 파절, 인접치아의 손상, 치조골의 골절, 신경손상 등이 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신경손상이다. 신경손상은 사랑니 발치 후 신경의 이상증상으로 인해 감각이상, 마비,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개 회복기간을 거치면서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도 있지만 심할 경우 영구적인 장애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특히 매복사랑니는 발치 시 높은 전문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강외과 전문성을 갖춘 의료진을 찾는 것이 좋다.
김 원장은 “사랑니가 신경에 인접한 경우 발치 시 신경손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사랑니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 난이도가 높은 외과적 처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는 것이 사랑니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