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비즈] 사랑니 발치 시 주의사항은?
사랑니는 사춘기 이후 17~25세 정도에 나기 시작하며, 첫사랑을 앓듯이 아프다고 하여 사랑니라고 불린다.
사랑니는 자연스럽게 자리 잡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성인은 치아 개수 대비 턱이 작아서 사랑니가 온전히 나오지 못하고 누워서 나거나 삐뚤게 되는 경우가 많다.
사랑니가 가지런히 나서 윗니와 잘 맞물리고 건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뽑지 않아도 되지만, 매복된 사랑니는 음식물 찌꺼기가 잘 껴서 충치나 잇몸질환, 구취의 원인이 되며, 다른 치아의 염증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
또한, 통증과 함께 뺨, 편도선, 림프샘 등이 부어올라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랑니가 턱뼈에 심하게 매복되어 있는 경우 사랑니를 감싸고 있는 치낭에 물이 차게 되어 다른 치아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방치 시 턱뼈의 골절이나 골수염, 양성종양으로 발전할 수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사랑니는 구강 내 치열의 맨 안쪽 끝에서 공간이 부족한 상태로 자리를 잡고 있는 경우가 많아, 충치, 치주염 등 다양한 형태의 질환을 일으킨다.
사랑니를 비롯한 치아 주변에는 신경이 많아 신경손상이 일어나면 신경마비에 의한 감각 이상 및 통증이 발생하거나 감각마비 증상과 같은 영구적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더불어, 사랑니 발치 때문에 감염, 출혈, 상악동, 감각 이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준비를 한 뒤에 발치를 해야 한다.
사랑니 주변에는 혈관, 신경 등 해부학적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일반 발치와는 달리 난이도가 높은 외과적 처치가 필요해 수술이 까다롭다.
사랑니 발치는 높은 난도를 요구하는 만큼 풍부한 구강악안면외과 적 지식이 필요하며, 사랑니 발치 경험이 많은 숙련된 치과의사에게 처치 받는 것이 안전하다. 따라서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더 정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발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원본링크]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16/2017021602022.html